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1차 재위와 아버지 카롤 2세의 재위 ===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13c592ff422f6563d8d926e0ed514ad5.jpg|width=300]] ▲ 1928년 1월에 찍은 사진. [[1927년]] [[7월 20일]], 루마니아의 국왕 페르디난드 1세가 사망하고 미하이가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당시 미하이 1세의 나이는 겨우 6살이었고 당연히 정상적인 국정 운영을 기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국왕이 너무 어렸기 때문에 임시 방편으로 3인 [[섭정]] 체제를 구축했다. 섭정을 담당할 세 사람으로는 니콜라에 왕자(페르디난드 1세의 차남, 미하이의 삼촌), 게오르게 부즈두간(대법원장), 미론 크리스테아(루마니아 정교회 주교)가 선정되었다. 미하이는 섭정에 동의하고 루마니아 헌법을 준수할 것을 서약한 후 정식으로 루마니아 국왕으로 등극하였다. 그런데 3년 후인 [[1930년]]에 아버지 카롤 2세가 루마니아로 돌아왔다. 이미 1928년 엘레니와 이혼한 상태였던 카롤 2세는 왕위를 욕심내고 당시 루마니아 총리와 비밀리에 모의하여[* 당시 루마니아 정부에서는 왕위를 넘겨받는 조건으로 내연녀와의 관계를 청산하고 엘레니 공주와 재결합할 것을 요구했다.] 왕위 계승을 약속받았다. 이 상황에서 아직 10살도 안 된 어린 왕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고 결국 졸지에 미하이는 왕세자로 격하되고[* 이때 왕위 확정상속인에게 주어지는 알바이울리아 대공위를 받았다.] 1930년 6월 8일부터 카롤 2세가 루마니아 국왕이 되었다.[* [[고려]] [[충숙왕]]과 [[충혜왕]]의 관계와 흡사하다. 아버지와 아들이 하는 짓이 반대지만. 차라리 [[충렬왕]]과 [[충선왕]] 관계에 더 가깝다.] 그러나 카롤 2세는 왕 자리를 차지하고도 약속했던 아내와의 관계를 회복하는데 전혀 신경 쓰지 않고 다시 내연녀를 만나기 시작했다. 또한 실책도 상당해서 [[삼권분립]] 제도를 없애고 전제군주정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형]] 제도를 부활시켜 민심을 잃어버렸다. ||[youtube(yiiqdA5K0Y8)]|| || 1939년 아버지 카롤 2세와 함께 폴란드를 방문한 당시의 미하이 1세[* 폴란드 전몰용사 무덤에 헌화를 하고 폴란드군의 사열을 받는 모습이 담겼다.] || 설상가상으로 [[1939년]] [[나치 독일]]과 [[소련]] 간에 [[독소 불가침조약]]이 체결되었고 동년 9월부터 [[폴란드 침공]]에 의해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말았다. 루마니아는 [[독소 불가침조약#s-5|독소 불가침조약의 비밀 합의 조항]]에 의해 영토 일부[* 소련에게는 바사라비아(베사라비아) 지방과 부코비나 북부 지방, 그리고 헤르차 지방을 [[소련의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빼앗겼고]], 나치 독일은 루마니아를 압박해 트란실바니아 북동부 지역과 [[다뉴브 강]] 이남의 카드릴라테르 지역을 각각 [[헝가리]](당시 [[헝가리 왕국]])와 [[불가리아]](당시 [[불가리아 왕국]])에 양도하게 강요했다.]를 [[호구(유행어)|호구]]처럼 뜯기면서 카롤 2세는 전국적인 비난 여론과 퇴위 압력에 직면했고, 당시 총리였던 [[이온 안토네스쿠]]가 퇴위를 강권해 [[1940년]]에 결국 퇴위했다. 이후 왕세자인 미하이 1세가 다시 즉위해 2차 재위 기간을 열게 되었는데 당시 그는 18세였다. 안토네스쿠와 [[호리아 시마]]는 그가 재위하자 [[국민군단국가]]를 선포한다. 요약: MADA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MADAWIKI: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