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이 문서의 오래된 판을 편집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게시하면, 이 판 이후로 바뀐 모든 편집이 사라집니다.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다른 뜻|사과(동음이의어)}} {{다른 뜻|사과를 생산하는 장미목 과수|사과나무}} {{과일}} {{사과}} ||align=right|[[파일:apple pixabay.jpg|100%]]|| === 학명 === '''Malus domestica''' Borkh. (1803) * 표준식물학명: '''Malus domestica''' * 동의어: 1. '''Malus domestica''' Borkh. (1803) 2. '''Malus pumila''' Mill. var. '''domestica''' (Borkh.) C.K.Schneid. (1906) 3. '''Malus pumila''' Mill. (1768) === 분류 === * '''계''': 식물계 (Plantae) * '''분류군''':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장미군''': Rosids * '''목''': 장미목 (Rosales) * '''과''': 장미과 (Rosaceae) * '''속''': 사과나무속 (Malus) * '''종''': 사과나무 (M. domestica) == 개요 == [[파일:많은 사과.jpg]] 사과는 대표적인 [[과일]]로, 껍질은 초록색 또는 빨간색이며, 과육은 보통 노란색에서 연두색이다. 품종마다 맛이 다르며,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사과의 맛은 달콤하고 새콤하며, 아삭한 식감과 탄력 있는 단단한 과육을 가진다. 잘 익은 사과는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청량감이 느껴지며, 좋은 냄새가 난다. 사과의 이름인 '사과([[沙]][[果]], 모래열매)'는 과실의 입자가 마치 모래처럼 느껴진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사과는 시간이 지나면서 수분과 펙틱화합물이 감소하여 과실의 경도가 낮아지며, 푸석푸석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 기성세대에서는 간혹 사과를 '능금'이라 부르기도 하며, 능금은 '''Malus asiatica'''로 사과의 근연종이다. == 역사 == 사과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와 [[중국 대륙]] 사이에 위치한 [[톈산 산맥]]과 [[타림 분지]]로, 이후 전 세계에 퍼지게 되었다. [[카자흐스탄]]의 [[알마티]]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알말리크]] 등 톈산 산맥 인근 도시 이름이 사과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과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도 재배되었으며, 그 후 유럽 전역에 퍼졌다. 17세기에는 유럽에서 개량된 사과나무가 미국에 전파되어, 미국에서는 사과나무 재배가 주요 산업 중 하나로 발전했다. 동양에서는 1세기경에 중국에서 재배된 기록이 있으며, 이후 중국에서 한국과 일본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과는 다른 장미과 식물들과는 다른 진화 과정을 거쳤다. 대부분의 장미과 식물들은 새들의 먹이가 되어 열매를 작게 유지한 반면, 사과는 대형 동물들이 먹고 씨를 퍼뜨릴 수 있도록 과육을 늘리는 방향으로 진화하였다. 그러나 빙하기 이전 대형 동물들이 대부분 멸종하면서 사과의 분포는 위축되었고, 사람에 의해 다시 확산되었다. == 특징 == 사과는 대부분의 냉온대 중위도 지방에서 자주 소비되는 과일로, 기독교에서 언급되는 선악과로 종종 묘사되기도 한다. 서유럽에서는 사과를 선악과로 떠올리지만, 고고학자들 사이에서는 당시 중동 지역의 기후를 고려해 사과보다는 무화과나 살구가 선악과의 모티브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사과의 색깔은 대체로 빨간색이 연상되지만, 과일의 맛을 내는 색소나 과자 시럽 등에서는 노란색이나 연두색이 흔하다. 빨간색을 띠는 사과 품종으로는 '레드 딜리셔스'가 대표적이다. 사과는 열과라는 생리장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과일 표면이나 꼭지 부분에 갈라짐 현상이 생기고 과육이 썩는 현상이다. 열과가 발생한 사과는 상품 가치가 떨어져 보통 시장에 풀리기 전에 걸러진다. 미국에서는 사과를 껍질째 베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학교나 회사에서 점심 후에 사과를 하나씩 먹는 사람들이 많다. 한국에서는 주로 사과의 껍질을 벗겨서 먹지만, 미국에서는 껍질을 깎지 않고 통째로 베어 먹는 사람들이 많다. 요약: MADA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MADAWIKI: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Clear (편집) 틀:과일 (편집) 틀:다른 뜻 (편집) 틀:사과 (편집)